고학년 동화맨발의 아이들

책 소개
11년 만에 거듭 책을 펴내는 까닭

농촌을 배경으로 삶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담아 낸 드라마 <전원 일기>는 23년간 방영된 명실 공히 우리 나라 최장수 드라마이다. <전원 일기>와 닮은 꼴 동화가 있다. 바로 1996년 첫 출간 후 10년 넘게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해 온 『맨발의 아이들』이다. 『맨발의 아이들』은 ‘현암사’에서 초판이 나온 지 11년 만에 ‘푸른책들’로 주소를 옮기고 김재홍 화가의 서정적인 그림을 곁들여 독자들에게 새로운 모습으로 선보이게 되었다.

그러나 왜 농촌의 이야기인가? 우리 문화는 농경사회를 근간으로 하며, 인류 문명 또한 농경에서 시작되었다. 하지만 단순히 이러한 이유 때문은 아니다. 사람은 누구나 죽으면 한 줌의 흙이 된다. 아스팔트 위에서 아장아장 걸음마를 배우고, 좀더 자라 친구들과 인라인스케이트를 타고, 어른이 되면 차를 몰고 아스팔트 위를 쌩쌩 달리는 도시 사람들이라고 하더라도 말이다. 그래서 농촌의 이야기는 단지 추억거리가 아닌 사람들의 가장 진솔하고 순수한 모습을 다루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이금이 작가의 두 번째 동화집으로 오랜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이 책이 여전히 우리에게 유의미한 까닭이다.


맨발로 흙의 감촉을 느끼듯 읽는 농촌 이야기

요즘 아이들은 「맨발의 아이들」의 진희처럼 대개 농촌을 이해하지 못한 채 자란다. 진희는 가뭄에는 관심 없고 놀러가는 날 화창하기만을 바란다. 또 모내기가 어떻든 흙탕물에 옷이 더렵혀지고 질은 논흙에 구두가 더러워지는 게 싫을 뿐이다. 진희가 구두를 벗고 맨발로 논흙을 밟았을 때 처음에는 진흙의 감촉이 낯설지만 곧 가붓하고 기분이 좋아진 것처럼, 우리 아이들에게 농촌은 같은 느낌으로 다가갈 것이다. 씽씽 달리는 차 안에서 내려야 비로소 들판에 익어가는 곡식 낱알들이 보인다. 옷이 더러워질까 하는 염려를 그쳐야 올챙이나 물방개가 보인다. 우리 아이들에게 눈을 들어 하늘을 보고, 들판을 달리고, 맨발로 흙의 감촉을 느끼게 해 주자. 새롭고 희귀한 그 무엇보다 평범하지만 우리 이웃의 삶과 목숨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경수의 여름 방학」으로 들려 주자. 빠르게 변하는 세상 속에서 변함없는 웃음을 보여 주는 「산타로 온 재덕이」를 만나게 해 주자. 「저 분꽃을 보렴」, 캄캄한 땅 속에서 꾼 꿈을 잊지 않고 활짝 꽃을 피우는 분꽃을 보여 주자. 『맨발의 아이들』을 통해 잃어버린 자연의 이야기를, 잃어버린 우리 이웃의 이야기를 들려 주자.



이웃들과 기쁨과 슬픔을 자신의 일처럼 나누는 우체부 정용만 씨의 하루를 다룬 「정체부 아저씨」, 농촌에 대한 이해가 없는 도시 아이 민아가 시골 아이 동수와의 만남을 통해 농촌을 직접 체험하며 마음을 열게 되는 「맨발의 아이들」, 집안을 세우는 기초가 된 다랑논에 농사짓는 게 힘들더라도 묵히면 안 된다는 할머니와 일손이 없는 현실 때문에 답답해하는 아버지와의 갈등을 그린 「다랑논」, 방죽에 낚시하러 오는 외지인들에게 심부름 값을 얻어 전자오락을 하는 재미에 빠진 진태와 다방에서 소일하는 아버지의 부끄러움을 그린 「아카시아 향기」 등 4편이 실려 있다.

여름
성실하지만 돼지막에서 일하기 때문에 결혼을 못 하는 삼촌을 바라보는 안타까운 종수의 마음이 담긴「삼촌 이야기」, 엄마가 집을 나간 뒤 아버지와 함께 사는 상희가 봉사활동을 온 대학생 언니들을 만나 잊지 않고 기억해 둔 꿈이 언젠가 피어난다는 희망을 갖게 되는 「저 분꽃을 보렴」, 희귀 새를 연구하러 온 새 박사님과 친해진 종수의 이야기를 통해 농약 중독의 심각성과 사람보다 희귀 새에 더 반응을 보이는 세태를 꼬집는 「경수의 여름 방학」 등 3편이 실려 있다.

가을
땅을 팔고 공장 경비를 하게 된 대웅이 아버지는 농촌의 변화에 빠르게 대처한 듯 보이지만 농사지을 때 느꼈던 삶의 보람과 의미를 아쉬워한다. 쓸쓸한 가을밤과 적적한 농촌 현실이 담긴 「귀뚜라미 우는 밤」, 농촌을 떠나는 이들과 남겨지는 이들 사이의 갈등과 심리를 잘 그려 낸 「아버지의 들」, 도시로 전학 간 친구를 그리워하는 진희의 편지 「건이에게」 등 3편이 실려 있다.

겨울
바보로 놀림 받는 재덕이가 오랜만에 고향에 다니러 와 ‘나’에게 크리스마스 선물을 주며 변함없는 웃음을 보여 주는 「산타로 온 재덕이」, 시내 백화점에 갔다가 값비싼 물건들에 눈이 휘둥그레진 은주가 결국에는 사람들의 끝없는 소비 욕구를 자극하는 백화점을 괴물처럼 바라보며 씁쓸해하는 「꿈을 빼앗는 백화점」, 쌀 개방으로 큰 피해를 보자 모두 모여 시위를 하는 장면이 눈물나면서도 한편으론 축제처럼 그려진 「함께 가는 길」 등 3편이 실려 있다.
기본 정보
: 이금이
그림 : 김재홍
출간일 : 2007년 10월 19일
페이지 : 208쪽
판형 : 172*225*20mm
ISBN : 9788957981290
가격 : 9,000
목차 
제1부 봄
정체부 아저씨(드무실 이야기)
맨발의 아이들(양짓말 이야기)
다랑논(새터말 이야기)
아카시아 향기(방죽거리 이야기)

제2부 여름
삼촌 이야기(새터말 이야기)
저 분꽃을 보렴(새터말 이야기)
경수의 여름 방학(방죽거리 이야기)

제3부 가을
귀뚜라미 운는 밤(가마골 이야기)
아버지의 들(아래뜸 이야기)
건이에게(감나무골 이야기)

제4부 겨울
산타로 온 재덕이(음짓말 이야기)
꿈을 빼앗는 백화점(안골 이야기)
함께 가는 길(안골 이야기)

지은이의 말
책 읽는 가족 여러분에게
수상 내역

2차 창작


이메일 : bamtee@bamtee.co.kr
Copyright ⓒ 이금이 All rights reserved.